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울산 지하에 1만3천km 위험배관··· 스팀·황산 유출·폭발 등 사고 잇따라

기사승인 2018.12.10  11:06:16

공유
default_news_ad1

지난 4일 경기도 고양시에서 25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열수송관 파열사고로 국민들의 지하 기반시설에 대한 불안감이 커진 가운데, 울산시 국가 산업단지 내 총연장 1만2천㎞가 넘는 위험 지하 배관에 대한 안전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울산 국가 산업단지 지하에 노후한 가스관이나 송유관, 화학관, 수소관, 스팀관 등 위험시설이 복잡하게 얽혀있어 시민들은 대형사고에 대한 걱정이 일고 있다.

울산시에 따르면 울산 내 지하 배관은 총 1만 2천800㎞에 달하는 길이로, 경부선(441.7㎞)의 29배 길이에 맞먹는다.

지하 배관은 8개 종류로 분류되며, 전력관이 5천731㎞로 가장 길고 이어 하수관 3천799㎞, 상수관 3천23㎞, 가스관 2천552㎞, 통신관 1천896㎞, 송유관 1천741㎞, 화학관 722㎞, 스팀관 60㎞ 등이 있다.

울산 미포 국가산단과 온산 국가산단 2곳에는 이들 8개 지하 배관이 모두 1천660㎞에 이른다.

울산에는 온수를 옮기는 열수송관은 없지만, 공장과 공장을 연결하는 스팀관이 있고 위험관으로 분류되는 가스관과 송유관, 화학관만 4천㎞가 넘는다.

이들 모두 1970년대 울산 국가산단이 조성될 때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해 40년이 넘은 지하 배관도 있다.

실제로 울산 내에서 지하 배관 사고들이 줄줄이 발생하고 있다.

지난 10월 25일, 울산시 남구 매암동 KOSPO영남파워 복합화력발전소에서 발전공정 배관 점검 과정에서 고온·고압의 스팀(증기)이 누출되는 사고로 3명이 다리 2도 화상 및 등뼈 골절 등 중상을 당하고, 또 다른 3명은 발목, 팔 등에 2도 화상을 입는 등 인적 피해가 발생했다.

이 사고 한 달 전인 9월 13일에는 울산시 남구 선암동 명동삼거리 주변 도로 아래 매설된 한주에서 한화종합화학과 롯데정밀화학으로 연결되는 대형 스팀 배관의 폭발·파손으로 다량의 스팀이 분출, 2개 차로가 가로 10m, 세로 3m에 깊이 3m 크기로 함몰됐으며, 인근 덤프트럭 1대와 건물 벽이 부서졌다.

또 지난 6월 25일에는 울산시 남구 부곡동의 한 석유화학업체 지하 배관에서 균열이 발생해 황산 일부가 유출되는 사고도 발생했다.

시민들은 "울산공단 내 화재나 폭발 사고가 더 일어나지 않도록 철저한 예방을 위한 안전 관리와 감독을 바란다"고 주문했다.

한편, 울산시는 한국플랜트관리와 공동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물 인터넷 제품 서비스 검증·확산 사업' 과제에 사물 인터넷(IOT) 기반으로 지하 배관 부식 상태를 실시간 측정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 국가산단 지하 배관 안전 관리 시스템 구축 및 검증 사업'을 신청해 지난 5월 선정됐다.

시는 내년에도 국비 6억 5천만 원 포함 사업비 20억 원을 확보해 울산 국가산단 내 기업체 600곳에 이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시는 또 국비 40억 원으로 올해 10월부터 5년간 지하 배관 중 가스관, 화학관, 송유관 총 902㎞를 대상으로 안전진단을 시행하고 있다.

울산에서 처음 이뤄지는 지하 배관 국가 안전진단 사업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아울러 울산시는 각종 배관사고를 예방하고 신속하게 재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290억원을 들여 내년까지 지하매설 배관 통합관리센터를 건립하기로 했다.

시는 12월 중 지하에 매설된 시설물에 대한 안전 관리를 어떻게 할지 등을 심의하는 지하 안전위원회도 구성해 운영하기로 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8일 "국가산단이 2곳이나 있는 울산에서 선도적으로 지하 배관 안전 관리를 위해 앞장서고 있다"며 "앞으로 유해 화학물질 누출감지시스템 구축, 지하 배관 통합안전관리센터 건립,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안전관리시스템 구축, 지하 배관 과학적 순회감시시스템 구축 등의 사업에도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사고 방지를 위한 근본적 대책으로 지하에 묻혀 상태 확인이 어려운 배관을 지상으로 끌어올려 공동 관리하는 통합 파이프랙과 지하 배관을 일원화하는 지하공동구를 구축하는 공동 배관망 사업은 올해 국회에 겨우 14억 원의 설계비가 올라간 상태다.

이동구 울산 석유화학산업 발전로드맵(RUPI) 사업단장은 “2010년 12월 사고 예방을 위해 공동 배관망 사업을 제안했지만 재원 문제와 정부의 미온적인 태도 등으로 계속 차일피일 미뤄지면서 그동안 사고가 반복됐다”고 지적했다.

이 사업단장은 “국민의 생명과 바로 직결되는 문제인 만큼 더는 미루지 말고 최우선 과제로 다뤄야 한다”며 “안전진단으로 끝낼 것이 아니라 공동 배관망을 서둘러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승용 기자 safe@119news.net

<저작권자 © 주식회사 한국안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김승용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1 2
default_side_ad3
default_side_ad2

국민안전방송

1 2 3 4 5
item35

일반기사

item43

산업안전 켐페인

1 2 3 4 5
item39

일반기사

그때 그 사건 영상

1 2 3 4 5
item36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